top of page
골프장관리업체 골프장외주업체

Green Aeration, Surfactant
그린에어레이션, 계면활성제

그린(Green)에 공기를 불어 넣다,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다.

그린 에어레이션,  그린에 공기를 불어 넣다.

에어레이션작업-3.jpg

농부들이 밭을 경작하는 것과 같은 이유다. 단단한 땅을 무르게 해서 물이 더 잘 스며들고 뿌리에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산소는 물보다 토양과 잔디에 더 중요한 요소다. 잔디는 이를 사람과 공유한다. 

그린과 페어웨이를 경작하게 되면 더 오랜 시간 동안 코스를 폐쇄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는 부작용이 덜 한 방법, 즉 에어레이션 작업을 활용한다. 

에어레이션은 보통 1년에 2~3회 정도 한다. 또한 그린에 아주 작은 구멍을 뚫는 것도 일반적으로 행하는 일인데, 이는 시즌 도중 환기를 위한 작업으로 그린의 습기를 제거하고 잘 마를 수 있도록 도와주며, 필요에 따라 잔디에 만연된 가스와 산소를 교체해 주는 행위다. 

또 한 가지 목적은 유기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다. 시즌이 진행되는 도중잔디가 자라면서 죽어서 부패하는 물질을 남기는데 이를 우리는 ‘대치 Thatch’이라 부른다. 에어레이션 작업을 통해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이 유기물질로 인해 잔디는 질식사한다. 

에어레이션은 심을 파내는 코링 Coring, 가는 구멍만 뚫는 솔리드 타인 Solid Tine, 워터 인젝션 Water Injection, 뿌리를 잘라내며 구멍을 뚫는 ‘슬라이싱 & 스파이킹 Slicing & Spiking’ 등 몇 가지 유형이 있다. 이 모든 작업이 토양에 공기를 공급하고 토양을 무르게 하며 유기 물질의 제거를 돕고 뿌리가 더 잘 자라도록 해준다. 

회복은 기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른 가을에 하는 에어레이션은 매우 빨리 회복되는데 밤이 되어도 기온이 크게 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봄과 늦가을은 낮이 더 짧고 기온이 낮으며 밤에는 서리도 내리기 때문에 회복이 보다 길어진다

에어레이션작업.jpg
에어레이션작업-2.jpg
에어레이션작업-1.jpg

에어레이션 작업

스크린샷 2025-01-13 150004.png

작년 늦가을부터 금년 이른 봄까지 계속된 영업으로 단단해진 토양을 뚫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제 막 생육이 활발해지기 시작한 잔디뿌리에 활력을 주어야 한다.

토양이 답압으로 단단해지면 토양 내 산소 부족으로 뿌리가 호흡하기 어렵고, 수분과 양분의 침투도 어려워 자연히 잔디가 약화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토양을 뚫고 양질의 모래로 다시 채워줌으로써 뿌리 층에 산소와 양분 그리고 수분이 원활히 뿌리에 공급 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그래야 에어레이션 후 건강한 뿌리가 나오고 길이도 깊게 내리면서 양분을 제대로 흡수하게 되고 자연히 잔디밀도도 높아짐으로써 시각적 품질도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작업 적기인 4월에 이 작업을 해야 한다.

작업팀의 구성-보통 4개팀
1. 에어레이터로 그린 표면을 뚫는 팀
2. 그린을 뚫으면서 표면에 올라 온 잔디코어(core)를 진공청소기와 같은 기계(스위퍼)로 빨아들이는 작업을 하는 팀
3. 그린 표면에 배토기로 모래배토를 하고 또 모래를 야적장에서 계속 날라다 공급해주는 팀, 
4. 매트를 끌면서 그린표면에 뿌려진 모래가 뚫려진 구멍에 잘 메꾸어지도록 최종 마무리를 하는 팀으로 나눈다. 
마지막 팀이 첫 홀 그린을 홀아웃하면 첫 번째 에어레이터를 맡은 팀이 첫 홀로 이동하면서 순차적인 작업이 시작된다. 

스크린샷 2025-01-13 150033.png
스크린샷 2025-01-13 150033.png
스크린샷 2025-01-13 150052.png
스크린샷 2025-01-13 151105.png
에어레이션작��업.jpg

​에어레이션 장비운용

골프코스의 에어레이션(통기작업)은 대취(thatch) 및 유기 물질 감소, 토양 답압을 풀어주어 토양의 산소 증가, 뿌리 성장 자극 등 장기적으로 잔디의 건강에 큰 도움을 주는 필수 작업이다.

잔디가 잘 자랄 수 있는 토양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작업 지역의 조건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장비와 작업 방식을 고를 수 있다. 에어레이션의 종류로는 길거나 짧은 타인(Tine), 유공 혹은 무공 타인, 수직통기 혹은 스윙형 통기, 회전하는 날로 자르거나 무게를 주어 깊게 자를 것인가 등으로 구분해 적용 할 수 있다. 각 작업 방식에 따른 장단점을 살펴보자. (편집자)
■긴 타인 vs 짧은 타인
타인은 1인치(2.54cm)부터 16.75인치(42.54cm)까지 다양한 길이로 존재 한다.

보통 에어레이션의 깊이가 깊을수록 잔디의 뿌리도 길어지는 경향을 보이므로 여건이 허락하는 한 깊은 작업이 좋으나 장비의 종류·지면 아래의 시설물(맹암거·스프링클러 등)이 설치된 깊이·암반 등을 고려해 선택해야 한다.
잔디 뿌리가 길면 관수 주기를 늘릴 수 있고 비료도 더 오랜 기간 효과를 발휘하며 토양 속 산소농도가 높아진다.
깊고 굵은 타인을 사용해 강도가 높은 갱신 작업을 수행 할 경우 휴장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린 모래 조성을 개량 할 수도 있다.
초창기의 에어레이터는 롤러에 타인이 부착된 형태로 나왔으나 요즘에는 크랭크축에 타인을 연결해 잔디 손상은 줄이면서 빠른 속도로 더 많은 통기구를 낼 수 있다.
■수직 방식 vs 스윙방식
에어레이션을 타인의 움직임으로 나누면 수직방식과 스윙방식이 있으며 요즘은 겸용 장비도 있다.
수직 방식은 잔디에 깔끔한 홀을 만들어 손상이 적기 때문에 잔디 회복력이 약할 때 유리하다.
스윙 방식은 홀을 내면서 토양을 흔들어 줘 홀과 홀 사이의 답압까지 해소해 준다. 다만 잔디 회복력이 약한 시기에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스윙 양을 조절하면 잔디 표면이 들어올려지는 양을 거의 없음 상태부터 약 2cm까지 들어 올릴 수도 있다.
토양의 답압을 해소해 주면 필요한 산소공급이 이뤄져 전체 양이온 교환용량을 증가시켜 토양배수를 개선시키게 된다.
■무공타인 vs 유공타인
장비의 종류에 따라 타인의 선택도 중요하다.

수직작업기의 경우 무공타인을 사용하면 답압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가져 올 수도 있어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
수직 장비에 무공타인을 쓰는 경우는 소수성을 띠는 그린 등에 아주 가는 타인을 사용해 작업하는 것으로, 잔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빠른 통기 및 배수를 좋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도 너무 자주 사용하면 답압을 가중시켜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수직 장비에는 유공타인을 사용해 코어를 뽑아내고 배토를 시행하는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스윙방식은 무공타인을 주로 쓴다. 답압 해소가 주 목적이며 유공타인을 쓸 경우 타인이 꺾이거나 부러져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무공타인으로 스윙 동작을 수행하면 토양을 흔들어 주는 과정에서 답압을 해소하고 미세한 균열을 만들어 통기성을 대폭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두 가지 타인 모두 수분이 전혀 없는 토양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작업하면 마찰에 의해 타인이 가열돼 잔디에 손상을 주고, 장비는 많은 부하를 받아 고장 가능성이 높아진다.

수직선형 에어레이션(Vertical Linear Aeration, VLA) vs 타인 에어레이션(Tines Aeration)
답압 해소에 고려할 수 있는 또 다른 장비는 수직선형 에어레이션(Vertical Linear Aeration, VLA)이다.이 장비의 답압 해소 능력은 심경 스윙방식 에어레이션과 유사하다. 다른 점은 타인 대신 날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25cm∼38cm정도 되는 날은 토양을 자르듯이 전진한다. 트랙터 PTO에서 동력을 얻어 샤프트에 부착된 날들이 회전을 한다.날들은 엇갈리게 부착돼 순차적으로 땅을 뚫고 들어가면서 좌우로 토양을 파도 형태로 흔들어 답압을 해소하게 된다.

지면으로 흙을 뽑아내지는 않지만 상당한 양의 답압을 해소한다. VLA장비로 갈라진 부분은 건조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회복까지 다른 에어레이션 작업 후와 마찬가지로 관수 주기를 빈번하게 해 줄 필요가 있다.
같은 조건의 토양에서 VLA방식은 타인 에어레이션 방식보다 더 깊이 작업이 가능한 것이 보통이다. 장비 구조도 간단해서 유지비용도 적게 드는 편이다.
답압이 심각해 타인 에어레이터 사용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 적합하다. 옵션으로 모래 호퍼를 추가로 장착하여 잘려진 부분으로 모래를 넣어 배수를 개선할 수 있는 장비도 있다.
■롤링 슬라이서(Rolling Slicer)
또 다른 에어레이션 형태로 매우 간단한 구조다. 답압해소보다는 자르는 목적이 우선이다. 한국잔디나 버뮤다 잔디처럼 포복경이 있는 잔디를 잘라주는데 유리하다. 포복경을 잘라주면 잔디가 보다 위로 자라는데 도움을 준다.
VLA장비에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답압해소에는 큰 효과가 없어 추가적인 답압 해소 방안이 있어야 한다.
날에 각도를 줘 답압 해소 기능을 추가한 장비도 있다. 비용은 저렴하지만 잔디에 추가적인 손상을 입히므로 회복시간에 대한 마음의 준비를 해야 한다.
■진동 무공 타인(Vibrational tines without holes)
그린에 사용하기에는 너무 강한 작업이지만 페어웨이나 러프, 운동장에는 사용할 수 있다. 표면의 10∼15cm정도의 답압해소에 탁월하다.
무공타인을 사용해 잔디를 전혀 뽑아내지 않으며, 파종기를 추가로 달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방작업 vs 치유작업
심경 에어레이션을 얼마나 자주해야 되는지 묻는다면, 그에 앞서 심경 에어레이션의 목적은 답압 예방이 답압 해소보다 우선한다는데 있음을 알아야 한다.
봄가을에 그린을 깊이 뚫어주고 여름엔 가는 타인 에어레이션하는 방식도 좋고, 난지형 잔디 페어웨이는 여름에 심경 에어레이션을 시행하는 방법도 있다. 예산의 문제겠지만 적절한 시기에 충분한 에어레이션을 해 줌으로써 농약 및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보식 비용으로 에어레이터를 구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 주입기와 모래 주입기
물 주입기(water injector)는 고압의 물을 땅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하절기 스트레스로 인해 잔디가 소수성을 띨 때 사용 가능하다. 물을 보충해 줄 준비가 필요하며 작업 후 바로 플레이가 가능하다.
모래 주입기(sand injection machine)는 물 주입기와 같은 원리로 작동한다. 물을 분사할 때 사이펀 효과로 호퍼에 들어있는 재료가 함께 주입된다. 토양개량제나 파종용 씨앗도 주입이 가능하다.
■드릴 앤드 필(Drill and Fill)
1980년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장비다. 토양 개량이 필요한 경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웬만한 심경 에어레이터 깊이만큼 충분히 작업이 가능하다.

잔디 표면에 흔들림이 거의 없어 답압 해소용으로는 부적합하다. 다른 심경 에어레이터에 비해 1/4 정도의 속도로 느리고 호퍼를 계속 채워줘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많이 든다. 하지만 작업 후 표면 변화가 거의 없어 플레이를 바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이크로 타인 micro tines
그린에 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 0.6cm정도의 아주 가는 무공 혹은 유공 타인으로 대취층을 뚫어 그린표면 아래를 빠르게 환기시켜 줄 수 있다.
마이크로 타인은 답압을 풀어주진 않으며, 대취층을 뚫어주는 것이 주 목적으로 길이도 2.54cm∼4cm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최대 통기 효과를 위해서 홀간 간격이 8c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코어를 뽑아낸다 하더라도 양이 적어 블로어로 불어내거나 그린모어 풀통에 담아낼 수 있고 회복도 하루 이틀 안에 빠르게 이뤄진다. 모래를 뽑아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작업 후 베드나이프의 무뎌짐 현상을 만들지 않는다.
그린의 답압은 하루 아침에 일어나지 않고 한번의 작업으로 답압이 완전히 해소되는 경우도 드물다. 주의 깊은 관찰로 적절한 작업 시기를 선택하면 가장 이상적인 작업 주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에어레이션작업.jpg
에어레이션작업-2.jpg
에어레이션작업-1.jpg
bottom of page